인실리코가 함께 참여하여 5년간 개발한
“웹 기반 나노 시뮬레이션 플랫폼”
2018년을 빛낸 10대 나노기술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 주최하는 나노융합성과전을 통해 ‘2018년 10대 나노 기술’이 발표됐다. 과기부와 산업부 지원을 받아 2017년 6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성과를 창출한 기술 중 추천을 받아 1차로 혁신성(40점), 확장성(40점), R&D 기여도(20점) 등 기준으로 20개 후보기술을 추리고,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정회원과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회원사가 참여하는 온라인 투표와 선정위원회 검토를 거쳐 2018년 10대 나노 기술이 최종 선정됐다. 올해도 ‘기초원천기술’과 ‘사업화 유망기술’ 두 가지 분야로 구분해 기초기술과 산업화 응용기술 중요성을 모두 반영했다.
2018년을 빛낸 10대 나노기술 목록
- 빛에 감응하는 나노 입자를 이용한 상처치유 및 피부 접합 기술 (한세광 포항공대 교수)
- 세계 최고 양자 효율을 갖는 진청색 OLED 소재 및 소자 기술 (이준엽 성균관대 교수)
- 나노 물질 설계가 용이한 웹기반 나노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 (이광렬 KIST 박사) – 인실리코 공동 개발
- 나노코팅된 인간면역세포를 활용한 목적 생리 물질 전달 기술 (최종훈 중앙대 교수)
- 고에너지 밀도 리튬-황 전지 구현을 위한 카본나노튜브 스펀지 입자 제조 기술 (문준혁 서강대 교수)
- 단백질을 모방한 3차원 금속 나노입자 합성 기술 (남기태 서울대)
- 고효율 나노다공성 수소발생 촉매기술 (엘켐텍)
- 대기 중 단시간 상온 소결 가능한 저가 구리 나노잉크 제조기술 (누리비스타)
- 반도체의 인라인 나노계측 솔루션을 제공하는 자동 원자현미경 기술 (파크시스템즈)
- 금속 나노패턴센서 기반의 휴대형 실시간 식품 독소 측정기 제품화 기술 (텔트론)
전자신문 –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

나노 물질 설계가 용이한 웹기반 나노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
“배터리 소재 설계를 위한 가상의 실험실 iBat”
배터리 소재 설계를 위한 가상의 실험실인 iBat 에서는 전해질과 음극의 계면반응 실험실, 음극반응 실험실, 양극물질 실험실 등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노 현상을 이해하고 나노 물질을 설계할 수 있다. iBat 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능 중 전해질의 기초 전기화학 특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능은 인실리코의 연구진들의 노력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전해질 후보 물질의 전기화학 물성을 자동으로 예측하여 알려주며 이 결과를 다른 전해질 물질들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많은 후보 전해질 물질 들 중 원하는 물성을 가지는 물질을 초기 스크리닝함으로써 신규 전해질 및 전극 물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